구글과 오라클 소송 결과 곱씹어봐 ... 알리바바 '탈IOE' 전략 주목받아

 

 

오픈소스 하드웨어인 라즈베리 파이에 5인치 스크린, 터치패드, 키보드 등을 장착한 모습.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의 발흥, 그리고 클라우드와 IoT의 대유행까지 이 모든 것이 벌어진 지난 10년은 IT 산업에도 하나의 전환기였다. 이 시기를 일컬어 업계는 ‘3세대', 혹은 '서드 플랫폼'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이야기한다.

1세대가 주전산기 시절 메인프레임이라면 2세대는 PC와 웹의 시대였다. 그리고 각각의 시대에는 그 시절을 기술적으로 구현해낸 납품 ‘업자’들이 있었다.

1세대의 주인공이 IBM이었다면, 2세대는 오라클이나 윈텔, 즉 마이크로소프트나 인텔 등이었다.

3세대의 사업 양식은 이들과는 다르다. 요즈음 앱이든 서비스든 새롭게 디지털로 뭔가를 만들어 내는 이들은 납품을 받지 않는다.

스타트업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서 쓰지 않는다. 서버도 구매하지 않는다. 그들은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등의 테크 자이언트에서 흘러나오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공짜로 쓰고 기계를 사는 대신 클라우드 등 그들의 서비스를 구독한다.

 


구글과 페이스북 덕분에 오픈소스 활성화

3세대 업자들은 일반 소비자가 주고객인 플랫폼 기업. 자신들의 사업에서 부산물로 쏟아져 나오는 혁신을 오픈소스화해서 뿌릴 뿐, 자신들이 납품 업자라는 자각도 별로 없다. 기술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커뮤니티에 기여한다. 사회 공헌하는 기분이다. 대신 개발자들의 관심을 얻어간다.

2세대만 하더라도 공짜라고 기업 업무에 오픈소스를 쓰는 일은 위험했다. 문제가 생기면 쓰기로 한 사람이 결국 뒤집어써야 했다.

그런데 이제는 오픈소스 뒤에 구글과 페이스북 등 더 큰 기업이 버티고 있어서 오히려 상용 제품보다도 문서화나 커뮤니티 지원이 더 충실한 경우가 많다.

공짜인데도, 외려 공짜다 보니 더 많은 이들이 함께 쓰며 개선할 수 있어서다. 거대 기업 입장에서도 널리 베풀고 꼼꼼히 관리하여 커뮤니티와 아군을 키우는 것이 결국 자신에게도 도움이 된다고 깨달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세대를 성공적으로 뛰어넘은 기업은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정도뿐이다. 문화와 체질을 바꾸는 일은 첨단 기업에도 쉽지 않은 일이다.  [기사 더보기]

 

 

[출처 : 이코노미스트(http://jmagazine.joins.com/index.php)]

[기자 : 김국현 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