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타(PaaS-T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주도로 만든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오픈소스 기반으로 제작한 만큼 국내 기업 누구나 파스-타를 활용해 상용 제품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파스-타가 최신 클라우드 기술을 기반으로 하지 않아 효용성에 의문이 든다는 지적이 나온다. 100억원이 넘는 정부 예산을 투입해 만든 파스-타지만, 지나치게 느리게 작동하는 등 기술력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국내 SW 시장 보호를 위해 만든 것이지만, 오히려 오히려 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도구라는 평가도 있다.
NIA 측은 일부 시장에서 제기되는 파스-타 관련 잡음에 대해 경계하는 모습이다. 이해관계자가 모두 만족하는 솔루션을 만드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일부 지적은 사실을 왜곡한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13일 SW 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수년간 일부 사업 공고를 통해 파스-타 사용을 강제했다. 민간 기업이 자체적으로 만든 SW로 경쟁할 기회를 차단했다.
파스-타 쓰면 제품 무거워진다?
NIA는 파스-타 개발을 위해 연간 30억원쯤을 투입하는 등 생태계 확대에 주력했다. 2019년부터 2020년 중반까지 공공기관이 공고한 일부 클라우드 사업 관련 제안요청서를 보면, 파스-타 관련 요건이 적시돼 있다. 공공 클라우드 사업을 하는 기업은 의무적으로 파스-타를 사용해야 했다. 일부 PaaS 기업 사이에 정부가 SW 산업에 과도하게 개입했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국내 한 SW 기업 관계자는 "파스-타는 폭발적으로 성장 중인 최신 쿠버네티스(구글의 오픈소스 컨테이너 플랫폼)와 클라우드 네이티브 생태계 기술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오래 되고 무거운 클라우드 파운드리(CF) 계열의 기술로 만들어졌다"며 "파스-타 기반으로 공공 분야 클라우드 플랫폼이 구축될 경우, 몇 년 안에 무겁고 잘 사용되지 않는 또 하나의 레거시 시스템이 돼 버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산 클라우드 시장이 약하다고 이를 공공이 주도하는 것이 시장 성장에 효과를 줄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며 "정부가 파스-타 확산 및 지원에 나설 경우 클라우드 플랫폼을 독자 기술로 개발한 기업의 공공 분야 진출은 어렵고, 이는 국가적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파스-타의 도입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파스-타에 개발에 참여한 기업들은 이같은 주장에 온도차를 보인다. 오히려 외산 업체와 대항하는 토종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는 등 긍정적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과거에는 쿠버네티스 기술 지원이 안 됐지만 지금은 버전 업데이트를 통해 기술적 경쟁력을 끌어올렸다는 점도 부각했다.
NIA는 2016년 4월에 처음 파스-타 공식버전인 1.0 스파게티를 공개했고, 2021년 2월 새로운 버전인 파스-타 5.5 세미니를 출시했다. 파스-타 5.0 버전부터는 쿠버네티스를 지원했다.
파스-타 사업에 참여 중인 한 기업 관계자는 "입찰에 참여하지 못한 일부 기업이 훼방을 놓고 있다"며 "파스-타를 비난하는 제품은 기술력이 부족해 호환에 문제가 있거나 기업이 독자적으로 판매하는 것인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파스-타의 기술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에는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에서 진행한 파스-타 관련 레퍼런스도 많다"며 "파스-타는 오픈시프트 같은 외산에 대한 방어벽 역할을 해주고 있으며, 정부에서 만든 제품이 국내 제품을 침해한다는 것은 1차원적인 접근이다"고 말했다. [기사 더보기]
[출처 : IT Chosun(http://it.chosun.com/)]
[기자 : 류은주 기자(riswell@chosunbiz.com)]